시놀로지 NAS DS920+ (Synology DS920+)

나날이 늘어나는 사진과 비디오, 문서들을 저장하기에 우리의 스마트폰, 랩탑의 저장용량은 항상 부족하게 느껴집니다. 좋은 저장공간을 가진 제품을 구입하려고 해도 굉장히 상승해버리는 가격 때문에 항상 망설이게 되죠! 😂 그래서 몇 년동안 고민만하던 NAS, 시놀로지 DS920+ 를 집에 들이게 되었습니다.
사실 요즘은 일정 구독료를 내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구글 드라이브, 애플 아이클라우드, 네이버 마이박스 등)가 대중화되었지만 그래도… 오랫동안 소유하고 싶었던 개인 NAS를 포기할 수 없었어요! 😌
NAS 는?
Network Attached Storage. 네트워크 결합 스토리지. 쉽게 말하면 LAN으로 연결하는 외장 저장장치. 반대 개념은 컴퓨터에 직접 연결해서 쓰는 DAS(직접결합저장장치, Direct Attached Storage) (출처 : https://namu.wiki/w/NAS(%EC%A0%80%EC%9E%A5%EC%9E%A5%EC%B9%98) )
시놀로지 NAS DS920+ 사양
시놀로지 DS920+의 사양과 데이터시트는 아래 시놀로지 공식 웹사이트에서 확인해 주세요.
- DS920+ 사양 : https://www.synology.com/ko-kr/products/DS920+
- 데이터시트 다운로드

시놀로지 NAS DS920+ 개봉

시놀로지 DS920+와 함께 씨게이트 아이언울프 NAS 전용 하드디스크 4TB 4개를 구입했어요. 시놀로지 DS920+는 저장디스크를 4개 장착할 수 있는 4 Bay 제품이기 때문에 저는 16TB의 공간을 확보 할 수 있도록 4TB*4개를 구입했습니다.

시놀로지 DS920+ 패키지를 개봉하면 가장 먼저 악세사리들이 등장합니다.

악세사리는 전원케이블, CAT.5e 이더넷 케이블 2개, 디스크 고정 나사(규격에 맞지 않는 디스크를 고정하기 위한 용도), 디스크 베이 열쇠, 간단한 설명서로 구성되어 있네요. DS920+는 2개의 이더넷 케이블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케이블을 2개 넣어주고 있어요.

DS92+의 본체는 덮개로 잘 쌓여 있습니다. 개봉 전, 두근두근…😀

구입까지 몇 년을 고민해온 시놀로지 DS920+의 본체입니다. 전면에는 디스크베이 4개와 상태를 표시해주는 LED 인디케이터, USB 3.0 포트, 전원버튼이 있네요. 본체 재질은 플라스틱입니다.

본체 후면을 살펴보면 팬 2개, 이더넷 포트 2개, eSATA 포트, 전원포트, 또 하나의 USB 3.0 포트, 그리고 켄싱턴 락 슬롯이 있습니다. 시놀로지 DS920+의 2개의 이더넷 포트는 경우 기본적으로 1Gb급의 통신속도를 지원하고, 만약 그보다 더 빠른 10G급의 속도로 운영하고 싶다면 별도의 10Gb 랜카드를 제품에 장착하여 사용 할 수 있습니다.
저는 집에서 사용하는 인터넷과 장비들이 최대 1Gb 속도를 지원하고 있기 때문에 10Gb를 위한 별도의 랜카드를 구입하진 않았어요.

각각의 디스크베이는 동봉된 악사세리 키를 이용하여 열 수 있어요. 최초에 디스크 마운트를 위해 잠금장치를 열지만 평상시에는 보안을 위해 다시 잠궈 두는 편이 좋겠죠?!

일반적인 사이즈인 3.5″ HDD의 경우, 사진처럼 디스크베이에 간편하게 마운트 할 수 있고, 3.5″보다 작은 2.5″의 HDD나 SSD를 장착하고자 하는 경우, 악세사리로 동봉된 나사를 이용하여 디스크베이에 고정시킨 후 마운트 할 수 있습니다.

디스크베이의 내부는 사진처럼 아주 심플하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4개의 디스크베이에 디스크를 어긋남 없이 장착시켜 밀어넣으면 내부의 슬롯에 정확히 꽂히게 됩니다. 누구나 쉽게 장착하기 쉬운 구성이에요!
시놀로지 NAS DS920+ 초기 설정

시놀로지 NAS의 강점 중 하나는 사용하기 정말 간편한 DSM(DiskStation Manager) 소프트웨어의 제공입니다.
하드웨어 설치 후, 동일한 내부 네트워크에 연결된 PC의 웹브라우저에서 ‘find.synology.com’ 으로 접속하면, 자동으로 신규 추가된 NAS 장치를 검색하고 설치를 위한 안내를 시작합니다.

안내에 따라 DSM이 설치되고 있습니다. 한글도 완벽하게 지원하기 때문에 전혀 어려움이 없습니다.

DSM의 설치과 완료되고나면, 가장먼저 스토리지 풀과 볼륨을 설정하게 되는데요. 이 과정에서 스토리지 RAID 구성을 설정하게 됩니다. NAS를 도입하려는 사용자들이 가장 먼저 하게 되는 고민이 바로 이 RAID 구성을 어떻게, 무엇으로 하냐인데요.
시놀로지 웹사이트에서는 자신이 장착하려는 디스크의 개수, 용량으로 각 RAID를 구성할 경우 ‘사용 가능한 공간’, ‘보호(오류 복구 등)에 사용되는 공간’, ‘사용하지 않는 공간’의 시나리오를 보기 쉽게 안내해줍니다. 저의 경우, RAID 5로 구성함으로써 전체 16TB의 공간 중 12TB를 저장공간, 4TB를 보호를 위한 공간으로 사용하게 됩니다. RAID 5의 장점은 4개의 디스크 중 1개에서 어떠한 오류가 발생할 시, 패리티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복구 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자신의 소중한 데이터가 오류로 인해 소실되는 것을 막기 위해 RAID를 통한 보호는 거의 필수적인데요. RAID의 개념과 각 RAID 구성 별 특징은 여러 웹사이트와 유튜브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 시놀로지 RAID Calculator (https://www.synology.com/ko-kr/support/RAID_calculator)


시놀로지 NAS DS920+의 기본설치 이외에 몇 가지 설정을 하면 좋을 주제들이 있는데요. 이 또한 유튜브에 자세한 소개가 많이 있으니 참고하시고, 저의 경우 아래 몇 가지 유용한 설정들을 진행했어요. 굵은 글씨의 ‘키워드‘로 검색하시면 많은 영상들이 나올거에요!
- 시놀로지 NAS – 인터넷 공유 포트포워딩 설정
- WebDAV Server 패키지 설치를 통한 외부에서의 네트워크 드라이브 접속
- SMB를 통한 내부 네트워크 드라이브 접속
- Synology DDNS 설정
- https 프로토콜 사용을 위한 Let’s Encrypt 인증서 발급 및 설정
- 강력한 사진관리 툴 Synology Photos
시놀로지 NAS DS920+ 구입
쿠팡에서도 좋은 가격과 로켓배송으로 시놀로지 NAS DS920+를 구입 할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세요!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